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식목일이 그냥 나무 심는 날이라구요? - 식목일의 진짜 의미

by 다미 Dami 2025. 4. 5.

식목일의 의미를 설명하는 썸네일 이미지로, 아이와 어른이 함께 새싹을 심는 모습이 강조됨
식목일의 진짜 의미는?

 

매년 4월 5일은 대한민국의 법정기념일인 식목일입니다.

이날은 나무를 심고 가꾸는 일을 장려하고, 산림 자원의 소중함을 되새기기 위해 제정된 날입니다.

봄이 시작되는 시기와 맞물려 전국 곳곳에서 나무심기 운동이 펼쳐지며, 산림청과 지자체 등에서도 다양한 행사들이 진행됩니다.

 

 

1. 식목일의 유래

식목일은 1946년 제정되었으며, 그 유래는 우리나라의 산림 황폐화 복구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해방 이후 전쟁과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산림이 급격히 파괴되었고

이를 회복하기 위해 정부 주도로 나무를 심는 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여기서 식목일은 단순히 나무를 심는 날이 아니라,

국토를 푸르게 만들고 미래 세대를 위한 자산을 지키는 의미 있는 실천의 날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식목일의 날짜인 4월 5일은 역사적으로도 의미가 깊습니다.

- 고려 태조 왕건이 즉위한 날

-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날

 

이러한 역사적 배경과 함께, 나무를 심기에 적절한 기후 조건도 고려되어 오늘날의 식목일이 된 것입니다. 

 

정리하자면

식목일은 단순히 나무를 심는 날이 아니라, 나라를 살리고 지구를 지키기 위한 시작점이자

모두가 함께 만드는 푸른 미래의 상징인 날입니다.

 

 

2. 왜 나무를 심어야 할까? 

 

식목일을 맞아 새싹에 물을 주는 장면과 푸른 산림의 전경을 나란히 보여주는 자연 보호 이미지
작은 새싹이 산으로

 

나무는 환경 보호에 있어 필수적인 존재입니다.

-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합니다.

- 미세먼지와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합니다.

- 폭염을 막고 그늘을 제공하여 도심 열섬 현상을 줄이는 데도 기여합니다.

- 자연재해 예방, 생태계 보호 등 다양한 측면에서 큰 가치를 지닙니다.

 

이러한 이유로 매년 식목일을 기점으로 나무를 심는 일이 꾸준히 강조되고 있습니다.

 

 

3. 우리가 할 수 있는 작은 실천 

4월 식목일과 어울리는 벚꽃 풍경으로, 만개한 벚꽃 가지 아래 하늘과 전선이 보이는 모습
벚꽃나무

 

식목일에 꼭 나무를 심지 않더라도, 환경을 위한 마음을 행동으로 이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실내 공기정화 식물 키우기

-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 재활용 실천하기

- 나무심기 행사 참여하기 등

 

작은 행동 하나가 모이면 큰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직접 경험하거나 온라인 및 지인이나 생활 속에서 참고한 정보들을 정리한 글입니다.
모든 상황에 적용되지는 않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 바랍니다.

 

 

🌱 직접 해보니 어때?

식목일의 계절감을 전하는 벚꽃 꽃잎의 클로즈업 이미지로 흐드러진 벚꽃 가지가 하늘을 배경으로 펼쳐짐
벚꽃나무의 벚꽃잎 확대사진

 

얼마전에 의성에서 산불이 발생한 정말 안타까운 일이 있었습니다.

요즘 바쁜일상으로 인해 올해 식목일엔 나무를 심진 못했지만

소소하게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를 실천해봤습니다.

평소 무심코 사용하던 일회용 컵 대신 텀블러를 챙겨서 갔고, 점심 포장하러 갔을때

일회용 수저는 괜찮습니다. 하고 먼저 말하고는 집에서 쓰는 수저로 먹었습니다.

 

그냥 작은 행동이긴 합니다. 그래도 이렇게 하루에 아주 사소한 것이라도 실천해보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오늘처럼 작은 습관 하나씩 실천해 나간다면 식목일의 의미를 일상 속에서

이어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올해 식목일에 어떤 실천을 하셨나요? 

💬댓글로 식목일에 얽힌 추억이 있다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공감도 꾹 눌러주시면 다음 포스팅에 큰 힘이 됩니다!